반응형
'불면증' 태그의 글 목록 :: 건강한 지식바다
반응형

심근경색 위험 높이는 수면시간의 중요성

정말 많은 분들이 밤에 잠을 잘 못 자는 불면증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대학 의대 연구팀의 연구에 의하면 불면증이 있는 경우 심근경색의 발병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불면증은 진료를 받고 나서의 국제질병분류 진단코드를 기준으로 하였고 이에 해당하지 않으면 1. 잠들기 어려움, 2. 수면이 이어지지 않고 일찍 일어남, 3. 수면 중간에 깬 뒤에 다시 잠들기 어려움 등 3가지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불면증으로 분류했다고 합니다 

반응형

연구를 살펴보면 불면증이 있는 경우 불면증이 없는 경우보다 심근경색의 발생률이 69% 높았고, 당뇨병과 불면증이 같이 있는 경우 2배 높았다고 합니다

물론 당뇨병이 아닌 다른 질환인 고혈압과 고지혈증 질환 또한 불면증만 있는 경우 보다 더 높게 나타났지만 당뇨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수면시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5시간 이하 수면시간인 사람은 6시간 자는 사람보다 심근경색 위험이 1.38배, 7~8시간 자는 사람보다는 1.56배 높았다고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너무 오래 자도 안된다는 겁니다 5시간 이하 수면시간인 사람과 9시간 이상 수면시간인 사람의 심근경색 위험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고 합니다 

오히려 6시간 수면인 사람이 9시간 이상 수면인 사람보다 위험이 낮았다고 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서 불면증과 관련된 다른 내용도 볼 수 있습니다

2019.06.17 - [INFORMATION/껀강] - 불면증과 기억력

 

 

반응형
반응형

기억력 저하와 연관되는 만성 불면증

불면증

만성 불면증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만성 불면증은 밤중에 잠들기가 어렵고, 깨어있는 경우가 일주일에 3일 이상은 되며,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수면과 기억력에 대해서 캐나다 콩코디아 대학에서 연구를 하였는데요 

만성 불면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불면증은 있지만 낮 생활에 크게 지장이 없는 경우, 정상적인 수면을 하는 경우로 나누었을 때 

만성 불면증인 경우가 다른 두 경우에 비해서 인지기능이 현저히 나쁜것으로 나타났고 그중에 장기기억인 서술 기억이 매우 나빴다고 합니다 

 

 

서술 기억은? 일화 기억과 의미 기억

기억력

서술 기억이 무엇이냐 하면

겪은 사건에 대한 일화 기억/ 객관적 지식에 관한 의미 기억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일화 기억은 본인이 겪은 과거의 사건들에 대한 기억이며, 의미 기억은 우리가 흔히 지식이라고 부르는 것들에 대한 것과 이름, 숫자 등의 단순한 사실이나 개념에 대한 기억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장기기억의 저하에 있어서 만성 불면증 이외에 생활습관이나 우리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들을 고려해도 결과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합니다 

 

결국은 만성 불면증은 우리의 인지능력, 특히나 장기기억능력의 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그 외에도 주의/집중력이 떨어지고 기분장애가 나타나기도 하는 것으로 빠른 조치를 하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여러분 저도 예전부터 정말 심한 불면증을 겪었습니다 

지금도 불면증이 남아있지만 예전처럼 만성 불면증은 아닌데요 

만성 불면증의 치료에 있어서 정신과를 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시고 가셔서 상담과 적절한 처방과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해서 자신을 망가뜨리는 만성 불면증에서 해방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트레스성 불면증엔 옥타코사놀


다들 옥타코사놀이라고 아시나요? 옥타코사놀은 사탕수수나 쌀겨 등에 들어있는 활성 성분인데요 이 옥타코사놀이라는 성분 자체가 새들이 먼 거리를 쉬지않고 날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는 것이라고 하는데요


이 옥타코사놀이라는 성분은 현재 건강기능식품으로 나와있는 제품들이 있는데요 현재 식약처에서 인증한 효능은 지구력 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옥타코사놀이 스트레스성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요

일본의 쓰쿠바대학 국제통합수면의학연구소 에서 옥타코사놀이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알려진 코르코스테론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로인해 엉켜진 수면을 정상화시키는 효과를 준다고 합니다 



그럼 다들 이러한 옥타코사놀도 결국은 외부에서 섭취하는 것인데 정상적인 수면이냐? 수면제 같은거 아니냐 하고 물어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옥타코사놀의 섭취로인해서 스트레스성 불면증이 나아질때 자연적인 수면과 전혀 다르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 연구는 쥐 실험으로 알게된 것인데요 쥐 실험 결과 정상적인 쥐들에게는 수면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스트레스성으로 불면증이 왔을때 수면제를 처방 받게 되는데요 그 순면제의 경우 잠을 자게 해주는 자체로도 스트레스를 줄여줄지 몰라도 스트레스 호르몬에 대해서 크게 작용하지 않고 부작용 또한 크게 나타날 수 도있습니다 하지만 이 옥타코사놀의 경우는 식품에도 포함되어있고 굉장히 안전한 물질입니다 

물론 이번 연구의 경우 동물실험에서 끝나고 아직 임상시험이 진행되어서 나온 결과는 아니라고 합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이 물질이 과연 BBB(혈액 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지에 대햇 서인데요 이 BBB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면 뇌에 작용을 할 수가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BBB(혈액 뇌 장벽)은 외로 들어가는 성분 중에서 필요한 영양소만을 선택적으로 들여보내는 뇌의 방화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옥타코사놀 자체로도 건강에 좋기 때문에 지구력 증진 등의 체력적인 문제가 있다거나 강한 웨이트 트레이닝 등의 운동을 하시는 분들은 챙겨드시는 것도 좋다고 생각되네요 

그럼 건강하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