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타이레놀' 태그의 글 목록 :: 건강한 지식바다
반응형

급성요통에 진통제 조합은 이렇게

무거운 물건을 갑자기 들거나 무리한 자세로 일을 하는 등으로 급성요통이 와서 허리가 매우 불편하고 아프신 분들이 많이 계실겁니다 

이렇게 급성요통이 오게되면 당연히 통증의 완화를 위해서 파스를 붙이거나 진통제를 섭취하게됩니다 

대부분 국민진통제인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타이레놀을 드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독일 아헨 RWTH 대학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급성요통에는 근이완제, NSAID(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을 복합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대부분 많은 분들이 집에 가지고계시고 많이 복용하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진통제를 단독으로 섭취하는 경우는 통증완화에 거의 효과가 없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근이완제와 NSAID를 같이 섭취하는 경우 1주일 후 급성요통과 신체적 장애가 진정되었으며, 여기에 아세트아미노펜을 같이 섭취했을경우 효과가 더욱 컸다고합니다 

연구는 통증이 시작된지 12주가 되지않은 급성요통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한것으로 통증이 3개월 이상된 만성요통환자의 경우 그 효과를 장담할 수 없다고 합니다

또한, 만성요통의 경우 요추에 상처조직이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단순히 진통제를 섭취하는 것보다 병원을 방문하여 척수 자극 같은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임신 중 타이레놀의 복용이 ADHD와 자폐증에 주는 영향

타이레놀에 대해서는 많은 분들이 잘 아실겁니다 

실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염/해열 진통제인데요 아세트아미노펜의 단일성분으로 이루어진 약입니다 

단일성분으로 과량복용으로 인한 간독성을 제외하고는 임신부가 복용해도 된다고 할 정도로 안전한 약으로 정평이 나있는데요 

 

아세트아미노펜에 노출된 아이가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와 자폐증(ASD,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위험이 높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병원)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탯줄의 혈액 내 아세트아미토펜의 수치와 대사산물의 수치를 확인한 결과 수치 상위그룹은 하위그룹에 비해서 ADHD는 2.86배, 자폐증은 3.62배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또한, 두 장애질환이 함께 진단이 될 위험도 3.38배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물론 해당 연구내용은 출산 시의 수치만 확인한 것으로는 임신 중 수치를 반영하지 못했기때문에 정확하지않고, 가족력을 고려하지않았다는 것도 한계성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의 다른 비처방 약들도 태아에게 해로울 수 있기때문에 아세트아미노펜만 집어서 피해야한다는 것은 정확하지않다고 합니다 

우리가 약의 섭취에 있어서 고려해야하는 것은 약으로 오는 득과 혹시모를 부작용을 저울질하여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의사의 약 처방의 기준이되는 내용)

물로 이전에도 아세트아미노펜의 ADHD와 자폐증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에서도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한만큼 임신중 약 사용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의사와의 충분한 상담과 진료를 통한 약 처방과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숙지라고 생각이 되네요 

괜히 이 내용을 보시고 임신 중에 너무 아픈데도 불구하고 약을 드시지않으면 고열과 통증, 스트레스 등으로 오히려 태아가 더욱 위험할 수 있으니 의사와 약사와의 충분한 상담 후에 약을 복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