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사' 태그의 글 목록 :: 건강한 지식바다
반응형

백의 고혈압이란

다들 고혈압은 당연히 아실 텐데 백의 고혈압에 대해서는 처음 들어보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기본적으로 고혈압이란, 국내 기준으로 140mmHg이상으로 계속 혈압이 높으면 약을 처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백의 고혈압에서 백의는 의사들의 가운을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의사분들을 백의의 천사라고도 하지 않습니까?

백의 고혈압은 평소에는 혈압이 정상인데 병원이나 의사 앞에서 혈압이 올라가는 현상을 이야기하는데요 실제로 이러한 증상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백의 고혈압의 위험성

대부분 이렇다면 아니... 평소에는 정상이니까 괜찮은 거 아닌가 하실 텐데요 

하지만 백의 고혈압도 치료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백의 고혈압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도 심장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심장질환으로 사망할 위험도 높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미국의 펜실베이니아대학 의대 조다나 코언 역학교수 연구팀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백의 고혈압 진단을 받았지만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 혈압이 정상인 사람에 비해서 심장병의 발병률이 36%, 심장병으로 인한 사망의 위험성이 109%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의 위험도 33%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백의 고혈압 위험군

물론 이 내용이 모든 백의 고혈압에 적용되기는 힘듭니다 

왜냐하면 일단 백의 고혈압에 대한 원인을 특정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병원에 가서 심리적 위축으로 인한 혈압상승일 수도 있고 다른 기저 원인으로 인한 불규칙적인 혈압의 변화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55세 이상이거나 심혈관 질환과 신장 질환, 당뇨병 등의 병력이 있는 경우 위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백의 고혈압을 가지고있다고 하십니다 혹시나 위험군에 속하신다면 의사와 상의 후에 치료를 시작하시기를 권해드리고 싶네요 

 

반응형
반응형

우리나라 전공의의 고충

현재 전공의들이 인원 부족으로 인해서 10명 중 9명 즉 90%의 인원이 하루 평균 1시간 이상의 초과근무를 한다고 합니다 

(여러분 평균입니다 심한 사람은 하루에 더 많은 시간을 하다는 것이고 이상입니다 1시간 딱 맞춘 게 아니라)

 

해당 자료는 대한전공의협의회에서 3월에 전국 90여 개의 수련병원 전공의 660명을 대상으로 해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라고 합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이렇듯 초과근무나 근무 스케줄 변경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문조사의 결과(복수응답입니다)를 보면 주된 이유로 인원 부족이 64.4%, 무리한 업무 일정이 64.1%, 응급환자의 발생이 60.9%, 초과근로 관행이 46.5% 였습니다

(인원 부족도 인원 부족인데요 하... 초과근로 관행이 46.5%가 뭡니까... )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서 많은 전공의들이 정신적/육체적으로 피로감을 호소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피로감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보면

92.9%의 전공의가 작업종료 후에 정신적 피로감을 자주 또는 항상 느끼며, 94.7%의 전공의가 육체적 피로감을 자주 또는 항상 느낀다고 하며 정신적/육체적 피로를 둘 다 항상 느낀다고 한 응답자가 70%였다고 합니다

 

그럼 과연 쉬는 시간에는 제대로 쉬는가를 살펴보면

휴식시간이나 식사시간에 대개 또는 항상 방해받는다는 전공의의 비율이 84.1%였다고 합니다

답변 몇 개를 살펴보면 '자기직전까지 식사시간이 30분 정도', '2주간 점심을 못 먹었다', '5일에 2번 정도 식사가 가능하다' 등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휴가도 편하게 사용할 수 없었는데요

전공의의 68.1%의 경우 휴가를 원할 때 사용할 수 없다고 했는데요 아무래도 인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휴가 조율에 있어서 타이트하기 때문인 듯합니다

 

이거 계속 내용들이 나오는데요

업무강도에 대해서 살펴보면 본인이 맡은 업무의 강도와 책임, 부담감으로 인해서 힘들다고 답한 전공의의 비율은 89.9%였고 34.4%는 매우 힘들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무래도 의사의 직업상 생명과 직결되다보니 진료업무에 있어서 주요 스트레스와 긴장 요인의 62.4%로 환자의 생사에 관한 판단과 결정을 할 때라고 합니다 

 

이러한 고통은 물론 전공의만은 아닙니다 교수들도 마찬가지인데요 제일 중요한 것은 전공의 들의 힘듬이 아무래도 더 크다는 것이고 인원도 더 많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 대한전공의협의회에서는 야간 당직 시에 담당 환자 수의 제한과 입원전담전문의 제도 확대가 시급하다면서 빠른 환경 개선을 바란다고 합니다 

 

의사는 우리의 생명을 지켜줄 수 있는 최후의 방어막이 되어주실 분들입니다 제발 환경이 빠르게 개선되어서 좀 더 좋은 환경에서 본인들의 건강을 챙기며 다른 사람들을 치료해주는 모습을 봤으면 합니다 

 

그럼 여러분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댓글로 많은 소통 부탁해용~)

반응형

+ Recent posts